예민한 감각 알아차리기 : 감각이 예민한 아이
감각이 예민한 아이
감각이 예민하다는 것은 청감각, 시감각, 촉감각, 미감각 등 크게 4가지의 감각에서 예민한 정도를 보이는 경우 입니다. 시감각이 예민한 경우 약한 불빛에도 반응을 보일 수 있으며 청감각이 예민한 경우 아주 작은 소리 및 아주 미세한 진동에도 반응을 할 수 있습니다. 촉감각이 예민한 경우 아이가 덮는 이불, 입는 옷에서 거부감을 보일 수 있습니다. 미감각이 예민한 경우 젖꼭지의 재질, 이유식의 질감 등에서 예민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누구나 예민한 감각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나 더 예민하게 발달이 되어 있는 감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민한 아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감각이 예민했을 때
감각이 예민하다는 것은 자신의 안전에 대해 그만큼 빠르게 반응을 할 수 있다는 점으로 생각을 해볼 수 있습니다. 감각이 예민했을 때에는 아이가 그 감각을 즐기는지, 거부하는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감각을 즐긴다면 이 감각이 아이에게 소통을 하려는 의도인지, 혼자서만 있으려는 의도인지를 가려내는 것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거부하는 감각이라면 아이가 단순히 싫어하는 것인지, 무서워하는 것인지를 가려낼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가 감각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을 보인다고 했을 때 이를 무조건 차단하고 아이가 겪지 않도록 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닐 수 있습니다. 모든 감각은 아이가 성장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가 됩니다. 너무 넘쳐도, 너무 적어도 아이의 성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예민한 감각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감각 알아차리기
말을 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울음으로 자신의 감정과 상태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울음을 통하여 아이가 싫어하는 감각에 대해 아이가 어떠한 감정을 느끼는지를 간접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싫어하는 감각이 아이에게 주는 영향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빠른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웃지 않는 아이, 반응이 없는 아이라도 싫어하는 반응에 대해서는 울음 등으로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웃지 않는 아이, 반응이 없는 아이들은 좋아하는 감각을 무한정 반복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정말 좋아하는 감각이라면 다른 비슷한 것을 제시하고 아이가 그것만 찾는 것인지, 다른 비슷한 것을 제시 했을 때 이 또한 가지고 놀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특정 자극만 찾는다면 한번에 차단하기 보다는 차근히 바꾸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각이 아이에게 주는 영향
미각이 예민한 아이들의 경우 구강이 예민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말이 늦거나 먹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강하게 가지게 될 수 있습니다. 어떠한 아이들은 구토반사가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청각이 예민한 아이들의 경우 귀를 자주 막거나 귀를 두드리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특정한 소리에 대해서 귀를 귀울이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청각이 예민한 아이들은 전정감각 등 신체와 관련된 감각에도 예민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사람의 말소리, 이름을 부르는 것에 더딘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다른 소리에 좀 더 집중이 되어 있고 말소리에 대한 인지, 변별에 대해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촉감각이 예민한 아이들의 경우 만지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자극에 대해 거부하고 익숙한 감각을 더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밤에 자는 과정에서 내가 안정을 찾을 수 있는 촉감이 있을 때 잠을 잘 잘 수 있습니다. 시감각이 예민한 아이들은 실제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밝은 곳에 갔을 때 눈을 자주 깜빡거리거나 눈을 자주 가리는 경우에는 아이가 신체 활동을 할 때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예민한 감각에 대한 대응
예민한 감각에 대한 대응이 가장 어렵고 어떻게 해야줘야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고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많이 어리다면 아이가 싫어하는 감각을 노출하기 보다는 되도록 노출되지 않도록 아이를 보호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가 어린 경우 대처해야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고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강제적으로 노출 시켰을 때 오히려 발달 과정에서는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감각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제시를 하면서 놀이를 유도해주시면 오히려 사회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말을 할 수 있거나 좋은것, 싫은 것에 대해 반응을 보이는 아이들의 경우 싫어하는 감각에 대해서는 노출을 하고 이를 거부하는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알려줄 수 있습니다. 또한 약한 자극부터 노출을 시켜서 싫어하는 감각도 함께 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 다만, 싫어하는 노출에 대한 자극의 경우 한가지 종류의 자극을 우선 시작하여 진행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