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유창성장애 : 말더듬

heyini 2024. 8. 4. 14:38
반응형

유창성장애는 무엇일까?

유창성은 구어의 흐름에 이상이 없고 부드럽고 유창하게 구어 표현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조음 및 발성기관의 기질적인 이상이 없고 생리적, 언어학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 등으로 구어의 흐름이 깨어지고 부드럽고 유창하게 말하지 못하는 것을 유창성 장애라고 하며 이로 인하여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게 표현하기에 어려움이 생기기도 합니다. 유창성 장애에는 말더듬과 속화 두가지로 나뉘어 설명을 할 수 있으며 가장 많은 유형이 말더듬입니다. 유창성 장애의 경우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우선적으로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특정한 이벤트 등으로 인한 심리적인 요인도 있습니다.

말더듬은 무엇인가

말더듬은 어두 첫글자의 음소를 반복하는 형태인 음소 반복, 첫 음절을 반복하는 음절반복, 단어 전체를 반복하여 단어 반복, 문장의 일부인 구를 반복하는 구 반복이 대표적이며 심각도는 구 반복, 단어 반복, 음절 반복, 음소 반복의 순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구 반복의 경우 일정 기간 반복이 나타나다가 자연적으로 소거가 되고 예후가 나아질 수 있지만 점차적으로 진행이 되는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나아지지 않고 점점 심각해진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1차적인 문제로 반복이 있다면 2차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연장과 막힘입니다. 연장은 첫 글자를 길게 말하면서 시작하는 것이고 막힘은 말을 시작하지 못하고 멈춰서 일정 시간 유지가 되었다고 말을 하는 것을 말하며 심각도는 막힘, 연장, 반복 순입니다.

발생하는 시기

발생하는 시기는 대체로 언어발달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만 2세에서 부터 5세 사이 입니다. 이 시기에 언어습득이 급격하게 발달을 하는데 자신이 알고 있는 단어를 반복해서 표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기도 하고 말이 느렸던 아이가 갑자기 말이 트여서 급하게 말을 하는 상황에서 첫음절 반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이 시기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나타나며 대부분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사라가기도 합니다. 또한 갑자기 말이 트이는 경우에는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말 반복이 나타났다가 줄었다가를 반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아 시기에는 없었지만 학교를 가고 난 후 갑자기 바뀐 환경으로 인하여 심리적 압박 등으로 인하여 말을 더듬게 되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 경우에는 심리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을 한 것으로 보고 개입이 될 필요가 있습니다.

발생하는 원인

말을 더듬게 되는 원인은 유전적 요인이 있습니다. 대체로 아버지께서 말을 더듬었다면 자녀 또한 말을 더듬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자연적으로 소거가 되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가 많으며 아버지께서 현재에도 말을 더듬고 있고 이를 자녀가 보고 듣는다면 치료를 받더라도 나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되어 학령기 시기가 되었을 때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언어 형태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었을 때 심리적으로 우울감을 느낄 수 있고 위축이 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요인은 갑작스러운 환경의 변화로 인한 심리적 압박을 받았을 때 말이 막히는 현상을 겪은 후 반복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대체로 심리적인 요인의 경우 갑자기 겪게 되기 때문에 언어치료와 심리치료를 병행하게 됩니다.

속화는 무엇일까?

유창성 장애 중 하나인 속화는 말 빠름증으로도 말합니다. 말빠름증은 유아의 말 속도가 너무 빨라서 나타나는 것으로 빠른 말속도로 인하여 말의 흐름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경우, 온전히 문장을 말하지 못하고 구성 요소가 생략되는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말빠름증의 경우 반복의 형태에 비해 유아가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말빠름증의 유아는 읽기 속도에서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책의 문자대로 읽지 않고 생략을 하거나 끝까지 보고 읽지 않는 등의 오류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속화의 경우 아동이 발음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