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66

놀이치료를 통한 언어향상

치료의 영역재활치료에는 다양한 영역이 있습니다. 다양한 영역을 통하여 자녀의 발달을 향상 시키고자 하며 각 영역에는 전문 교육을 받은 재활치료사들이 그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치료 영역에는 언어, 감각통합, 놀이, 미술, 운동 영역 등이 있고 그 외에도 여러 영역이 있습니다. 치료의 영역은 다르지만 모두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정상 발달에 맞춰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또한 영역이 나뉘는 것은 각 영역마다 사용하는 도구와 접근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다만 치료영역은 아동의 역량에 따라 도움이 되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놀이치료놀이치료는 크게 놀이발달 향상과 심리치료의 영역으로 언어발달이 느린 아동이나 사회성 발달이 느린 아동의 경우에도 해당 영역에 대한 수..

교육 2024.11.20

짝수업을 대하는 자세 : 짝수업 효과

짝수업이란?짝수업은 두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이 되는 수업입니다. 짝을 맞춰서 한다고 하여 짝수업으로 명명하며 그룹수업과는 다른 개념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 활동 입니다. 짝수업의 경우 성향이 같아도 되지만 서로 다른 성향의 아동이 비슷한 수행 수준을 가지고 있다면 이를 연결하여 진행을 할 수 있으며 하나의 활동, 교구를 서로 공유하며 활동을 이어나가지 때문에 부모님 외에 다른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할 수 있는 수업 중 하나 입니다. 또한 이 활동에서는 상대방의 기분이나 감정, 나의 기분이나 감정을 파악하고 표현하는 활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타인에 대한 이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활동 입니다.짝수업의 프로그램프로그램은 40분의 수업 시간으로 구성이 되며 아동들의 기능 향상에 ..

교육 2024.11.16

사회성 발달 알아차리기

아이들의 사회성은또래와 한 공간에 있을 때 같이 놀이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연령은 2세에서 3세 초반의 연령입니다. 이때에는 자기 중심적으로 놀이를 하므로 상대방과 한 공간을 공유하는 것에서 같이 놀이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세 후반의 연령 부터는 교구를 공유하고 함께 주고 받는 놀이를 시작하였을 때 사회성 발달지연이나 사회성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4세 이후에는 아이들이 서로의 이름을 부르거나 손을 잡는 등의 행동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됩니다. 5세 이후에는 어떠한 아이들과 놀았는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무엇을 하였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놀이터 등에서도 부모님보다는 또래와 놀려고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6세 이후에는 선호나는 대상이 생기고 그 대상과 함께 놀고자 ..

교육 2024.11.15

훈육을 하는 방법과 정도

훈육이란아동이 잘못된 행동을 하였을 때 이를 아동이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알려주는 것을 훈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훈육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학교에서, 발달센터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동의 문제 행동이 발생하였을 때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때에 따라 시간이 일정 부분 지난 후에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최근의 훈육은 여러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방법도 다양합니다. 또한 훈육은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서 체벌이나 학대로도 평가가 될 수 있습니다.올바른 훈육이란?아동이 잘못된 행동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경우 올바른 훈육이 진행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모님의 반복된 말로 인하여 아동이 이를 외워서 말하고 같은 행동이 반복이 된다면 앞서 진행된 훈육은 올바른 훈육이 되었다고 할 수 ..

교육 2024.11.13

장애아동 판정기준

장애아동이란흔히 말하는 장애 아동은 장애 성향을 보이거나 장애 등급을 인정 받은 아동이 해당이 될 수 있습니다. 장애 성향이 보인다는 점에 는 대체로 언어 검사나 지능검사, 자폐관련 검사 등을 받지 않았지만 특정 장애의 특성을 보이는 경우에도 장애 아동이라고 표현을 많이 하고 있으나 이는 섣부르게 아동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검사를 진행한 후에 장애등급을 인정 받은 아동들에 한하여 사용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중에 판단하여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는 표현 중 하나 입니다. 또한 각 장애 유형에는 그에 맞는 판단기준이 있습니다.판정기준-지적장애지적장애의 판단기준은 심각도에 따라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DSM-5에 따르면 가벼운정도의 지적장애는 경도 수준으로 ..

교육 2024.10.24

자폐아이와 같이 놀기

자폐아동의 놀이자폐 아동의 경우 함께 놀이 보다는 아동 혼자, 선호하는 특정 활동에 대해서만 즐기고 놀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놀이에 대해서 함께 공유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이 아동에게 다가가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등의 회피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아동이 방해를 받는다고 생각을 하거나 중단 될 수 있다는 의식을 하기 때문에 자신 만의 놀이에 집중을 하기 위하여 자리를 이동한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자폐 아동의 놀이는 그 아동만의 규칙과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무시하기 보다는 아동의 놀이가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아동의 놀이를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자폐 아동의 놀이 확장하기 자폐 아동의 놀..

교육 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