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의사소통 의도 향상 시키기 : 자폐스펙트럼

heyini 2024. 10. 16. 08:55
반응형

의사소통 의도란?

의사소통 의도는 내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려는 시도를 하는지, 의사소통을 하려는 표현이 있는지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자폐스펙트럼 아동들의 경우에는 의사소통을 하려는 시도와 표현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혼자서 있는 경우가 많고 다른 사람이 아동에게 소통을 하려고 하여도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자리를 피하기도 하기 때문에 의사소통 의도가 낮거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에 대한 부분은 아이들의 일상생활과 사회성과도 연관이 되는 부분이므로 의도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알아차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의도에는 말과 행동, 눈짓, 표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의사소통 의도 알아차리기 : 행동관찰 및 놀이관찰

영유아의 아동일 경우 의사소통 의도를 알아차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의도를 알아차리는 과정에서 아동이 놀이는 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그 안에서 아동이 보이는 행동에 대한 관찰을 유심히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놀이 관찰 중에는 아동이 무엇을 선택하는지, 어떻게 교구를 관찰하고 보는지 등에 대한 관찰을 해 볼 수 있으며 아동이 어려움을 보였을 때 하고 싶은 것이 생겼을 때 어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지. 포기 하는지에 대한 행동 관찰을 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하여 아동의 의사소통 의도를 확인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치료에 대한 방향과 목표를 세울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 의도가 낮다면

의사소통 의도가 낮은 경우라면 이 의도를 향상 시켜주어야 합니다. 의도를 향상 시킬 때에는 아동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동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이점을 활용하여서 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요구하는 과정에서 손을 내밀어보이거나 "주세요."라는 말을 모방발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의사소통 수단으로 언어, 제스처를 사용하도록 하고 이를 아동이 사용하였을 때 자신의 표현이 상대방으로 하여금 수용이 되는 경험을 자주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도록 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자신의 표현이 수용이 된다는 점을 기억하고 의도를 가진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 의도가 중요한 이유

의사소통 의도를 아동이 보이는지, 보이지 않는지에 따라 부모님과 아동 간의 상호작용이 잘 되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아동의 의도 표현을 빠르게 알아차리시는 경우에는 아동은 보다 나은 소통을 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의도 또한 지속적으로 향상이 되거나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표현으로 자신의 의도를 표현하던 아이들은 점차적으로 더 많은 요구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요구가 다양해게 되면 그에 대한 의도를 표현해야하기 때문에 스스로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을 사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음성을 주로 사용하던 아동이라면 음성과 행동을 같이 사용하거나 행동을 주로 사용하던 아이들의 경우에는 음성도 함께 사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향상시키기 

의도를 향상 시키기에서는 아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에 대해 파악하여야 합니다. 싫어하는 것 보다는 좋아하는 것으로 의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처음에는 좋아하는 것을 제시하면서 유대감을 형성하고 좋아하는 것을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배치하되, 아이의 눈에 보이도록 합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하기 위해서 어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의도를 어른들에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좋아한다고 해서 미리 해주시기 보다는 아이가 이를 표현하는지를 살펴보시면서 요구하는 표현 등을 알려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