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와 아이의 놀이
아빠와 아이들의 놀이는 아이의 성장에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와 재미있게 잘 놀아주는 아빠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경험을 해 본 적이 없어서, 아이가 다칠까봐 등등의 이유로 놀아주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놀아주시지만 아이가 아빠를 잘 따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었을 때 아빠는 아이를 기다리지 못하고 그만 두시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아이와 놀아주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단순하기도 합니다. 여자아이와 놀아주는 방법과 남자아이와 놀아주는 방법은 다를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놀이 - 남아
아빠와 함께 놀이를 하는 경우 성별에 따라 나누어서 알아보면 낮은 연령 대의 남자아이의 경우, 1. 공놀이 입니다. 공놀이도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공을 주고 받는 놀이, 일종의 "주세요." 놀이 입니다. 공을 굴려주고 아이가 가지러 가거나 아이가 던지거나 굴리듯이 놓는 공을 아빠가 주워서 아이에게 주는 놀이입니다. 단순한 1차적 놀이입니다. 까꿍 놀이를 하는 시기가 되면 "공 어딨나?" 놀이를 해볼 수 있습니다. 공을 숨기고 찾거나 놀이를 하기 전에 공을 찾을 때부터 놀이를 해 볼 수 있습니다. 공을 골대 넣는 놀이를 해볼 수 있습니다. 농구 골대와 같은 곳에 공을 넣는 것을 알려주면서 놀이를 해 볼 수 있습니다. 2. 잡기놀이 입니다. 뛰어도 되는 넓은 공간에서 아이가 뛸 때에 같이 뛰어주시면 잡기 놀이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아빠에게 올 때 조금씩 뒤로 이동을 하면서 잡기 놀이를 유도해볼 수 있습니다. 3. 휴지 놀이 입니다. 휴지 놀이는 휴지를 뽑는 놀이를 하거나 두루마리 휴지를 굴려 풀면서 아이와 놀이를 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뽑기, 이후에는 굴리면서 풀기를 해볼 수 있는 놀이입니다. 4. 비눗방울 놀이 입니다. 비눗방울은 불어주는 방법도 있고 비누거품을 만들어서 만지고 놀이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비눗방울은 불어주고 같이 터트리면서 놀아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5. 종이컵 쌓기 놀이 입니다. 종이컵을 쌓아서 넘어뜨리거나 종이컵을 쏟으면서 하는 놀이 입니다. 아이들은 쌓는 것을 기다리지 못합니다. 낮게 쌓아서 넘어뜨릴 수 있도록 해주셔야 합니다.
성별에 따른 놀이 - 여아
여아와의 놀이는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놀이가 정적이고 앉아서 하기 때문에 쉽게 접근하지만 여자 아이의 경우 놀이에 대한 공감 등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러한 미묘한 변화 등에 대해 아빠가 감지 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아와의 놀이에서는 1. 얼굴이나 몸에 붙은 스티커 떼기 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스티커를 아빠의 얼굴, 팔 등에 붙여놓고 아이가 떼어서 가져가는 놀이입니다. 2. 같이 춤추기 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동요를 틀어 놓고 같이 춤을 추는 놀이 이며 앉아서 하기 보다는 일어나서 함께 해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3. 그림자 놀이 입니다. 그림자 놀이는 무서운 그림자 보다는 아기자기하고 아이의 행동을 따라 하는 등의 모습으로 그림자 놀이를 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4. 이불 놀이 입니다. 이불놀이는 이불에 아이를 태우고 움직일 수도 있고 이불을 올렸다 내렸다 하는 까꿍 놀이를 할 수도 있습니다. 5. 화장놀이 및 미용실 놀이 입니다. 화장놀이와 미용실 놀이를 교구를 사용할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가정에 있는 빗과 사용하지 않은 퍼프를 활용하여 얼굴 및 손을 약하게 두드리는 놀이를 해볼 수 있고 빗을 사용해서 빗기 놀이를 할 수도 있습니다.
꼭 성별에 따라 놀아주어야 할까?
꼭 정해진 성별에 따라 놀아주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성별과 아이의 성향에 따라 놀이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아이의 놀이 참여도 향상과 놀이를 할 때 활동 유지시간과 연관이 되기 때문입니다. 성별에 따라서 구분을 한 것은 활발한 여아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대체로 성별에 따라서 선호하는 놀이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모든 놀이를 좋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고 놀이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참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아이의 놀이 참여 빈도가 낮은 경우에는 아빠와 엄마가 놀이하는 것을 보여주시고 아이의 관심을 끄는 방법을 진행하여 아이의 반응을 보면서 놀이를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산만하고 뛰어다니는 경우에는 바깥으로 나가서 뛰어 놀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같이 뛰어 놀아주시면서 아이가 부모님의 이야기를 듣는지 파악을 하고 들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이야기를 듣고 따르기가 가능하면 앉아서 놀이하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앉는 것이 힘든 아이들에게 앉아서 놀이를 하도록 했을 때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소통 의도 향상 시키기 : 자폐스펙트럼 (0) | 2024.10.16 |
---|---|
발달지연의 의사소통 : 장애유형에 따른 방법 (0) | 2024.10.12 |
예민한 감각 알아차리기 : 감각이 예민한 아이 (0) | 2024.10.08 |
놀이 할 때 엄마의 역할 (0) | 2024.10.02 |
발달지연의 원인 : 환경적 영향 (5)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