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산만한 자녀 : 주의력

heyini 2024. 7. 26. 19:40
반응형

한 가지 일에 마음을 집중하는 힘 : 주의력

학습을 하거나 어떠한 일을 행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얼마나 집중을 할 수 있으냐 입니다. 최근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 중 하나가 주의력결핍, 주의집중력이 낮다 라는 것입니다. 주의력이 필요한 이유는 목표를 가지고 시작한 일에 대해 완성을 하여야 한다는 책임감과 의무 때문입니다. 어린 연령에서는 요구되지 않지만 5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점차적으로 자녀에게 요구하게 되는 영역 중 하나입니다. 주의력은 모든 아이들이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환경, 가족력 등의 영향으로 주의력이 다소 낮은, 또는 많이 낮은 아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소 낮은 아이들은 주의력 높이기에 관심을 가져주셔야 산만한 자녀를 바르게 교육할 수 있습니다.

주의력이 학습에만 영향을 미칠까요?

주의력이 단순히 학습에만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사람들을 만나 대화를 하는 상황에서도 주의력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로 인하여 관계 형성과 유지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 자신의 일상생활에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변이 정리가 되어 있지 않거나 일의 순서가 없고 완성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을 하기도 합니다. 성장을 한 후에는 회사 생활 등에서도 완성도 있는 일의 수행을 하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주의력이 낮다는 것은 여러 상황에서 나와 타인에게 영향을 크게 줄 수 있는 것 중 하나입니다.

알아차리기 

산만한 자녀는 주의력이 낮을 수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단순히 주의력과 집중력이 낮아서 주의력결핍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부주의한 행동이 있을 것이고 착석에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또한 내가 좋아하는 것은 잘하지만 유치원에서 제시되는 공동의 과제 수행에 어려움이 있고 선생님의 말을 듣지 않고 있다가 다른 아이들에게 방해가 되는 행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로 인한 행동이 문제 행동이 될 수도 있지만 아이의 주의력이 낮기 때문에 그러한 행동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문제 행동은 훈육을 통해 수정이 가능하지만 낮은 주의력으로 인한 행동 문제는 훈육으로 수정이 되지 않습니다. 자녀의 행동에 대해 문제가 있다는 피드백을 받으셨고 그 기간이 오래 지속 되었다면 자녀의 행동이 주의력으로 인한 것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행동에 대해 알고 있을까?

자녀는 자신이 행동 문제에 대해 빨리 알아차리지는 못합니다. 그저 내가 잘못해서 혼이 난다고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알아차리는 과정에서 아이가 치료를 받거나 병원을 다녔을 때 자신의 행동에 대해 알아차리거나 또래 관계에서, 선생님과의 관계에서 같이 놀고 싶고, 혼이 나고 싶지 않다고 이야기를 하는 모습으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는 스스로 이를 조절하지 못하며 일부러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또한 학습적인 면에서 오랜 시간을 공부하고 학원을 다녀도 학습 결과가 좋지 않은 경우 낮은 주의력으로 인해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어린 연령의 자녀는 동일하게 알지 못하지만 초등 고학년의 공부에 관심이 있는 자녀는 이를 알아차리고 부모님께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산만한 자녀가 되는 이유는?

자녀가 산만해지는데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 주의력이 결핍된 ADHD 일 수 있고, 환경의 영향 일 수 있고, 또 다른 병리적 요인으로 인해서 일 수 있습니다. 병리적인 요인의 경우에는 병원을 내방하여 약을 처방 받고 행동 수정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환경의 영향이라면 원인이 되는 환경을 우선 찾아야합니다. 대체로 불안정한 가정 환경, 비일관적인 부모님의 양육태도, 유아기부터 노출이 시작된 미디어 등 환경적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산만한 자녀를 변화시키기 이전에 환경이 우선 변화가 되고 이를 자녀가 인지하고 받아들이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해나가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환경 변화가 된 후 자녀의 행동이 조금씩 변화가 나타난다면 병리적인 요인 보다는 환경적인 요인이 좀 더 자녀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아실 수 있습니다. 환경변화를 우선 진행 후 자녀에 대해 교육이 진행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