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청각적 주의력 높이는 방법 : 듣기 연습

heyini 2024. 7. 27. 22:24
반응형

산만한 아이

좋아하는 것에는 집중력을 가지고 할 수 있는 아이라면 부모님과 선생님이 제시하는 활동에 대해서도 충분히 집중을 가지고 수행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집중력을 가지는데 가장 큰 요소가 되는 것은 흥미, 즐거움 입니다. 아이가 흥미를 가진 것, 했을 때 즐거움을 주는 것은 자연스럽게 집중을 할 수 있습니다. 즐거움이 없는 학습에 대해서는 아이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있었을 때 집중을 하려는 노력을 하며 수행을 끝까지 할 수 있습니다. 조금만 주의력을 가지고 학습을 했을 때 수성과를 내는 아이라면 옆에서 조금만 듣기 연습을 해주시면 청각적 주의력이 향상 될 수 있습니다.

설명을 오래 듣지 못하는 아이

설명을 듣지 못하는 아이들은 청각적 주의력이 낮을 수 있습니다. 청각적 주의력은 상대방의 말을 듣는 동안에 집중하는 것을 말하기도 합니다. 들을 때 주의를 기울이고 듣는 동안 이를 유지하는 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산만한 아이는 앞에서 말하는 사람이 나에게 말을 하는지, 다른 사람에게 말을 하는지에 대해 인지와 주의력이 낮다보니 집중을 하여 듣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설명을 듣지 못하는 것인지, 상대방의 말을 듣지 못하는 것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청각적 주의력이 낮은 경우에는 이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이 필요하며 가정에서도 충분히 하실 수 있는 영역입니다.

청각적 주의력 높이기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지 못하는 경우에는 아이의 이름을 불렀을 때 반응을 보이지 않는지, 이름을 불렀을 때 쳐다보고 아이에게 이야기를 하였을 때 다른 곳을 보는 등의 모습을 보이는지에 대해 반응을 살펴보고 듣기 연습 진행하여야 합니다. 아이의 이름을 불렀음에도 아이가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면 아이가 듣지 못하는 것 보다나 이름을 들으면 혼이 난다는 경험과 같이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을 때 그러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름에 대한 반응 향상은 이름을 부르신 후 아이에게 칭찬을 해주시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함께 해주시면서 향상을 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좀 더 자주 반복적으로 해주시면 가장 좋습니다. 이름을 불렀을 때 쳐다보지만 이야기를 할 때에 반응이 없거나 다른 곳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이야기 듣기에서의 주의력을 높이기에서는 긴 이야기가 아닌 짧은 이야기를 먼저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상생활 이야기에서 집중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아이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먼저 물어보고 대답을 해주시면서 대화를 유지하는 것에 집중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아이의 이야기에 공감을 해주시고 간간히 부모님의 이야기에 해주시면서 청각적 주의력을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설명 듣기 연습 

이야기 듣기와 설명 듣기는 조금 다른 영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야기는 잘 들어도 설명을 들어야하는 경우 무엇을 들어야 하는지 모를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설명 듣기에 어려운 아이들은 선생님이 1 대 1로 알려주어도 이를 잘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6-7세 아이들은 마주보고 앉아서 그림 카드를 보고 간단한 내용으로 설명을 해주시고 해당이 되는 그림을 찾는 것을 연습해 볼 수 있습니다. 단계적으로 1가지 특징을 듣고 찾기 후 들었던 내용을 그대로 말하는 활동입니다. 같은 방법으로 3가지 특징을 듣고 찾기 후 들었던 내용을 말하도록 하며 설명을 듣고 들었던 내용을 기억하여 다시 활용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짧은 이야기를 듣고 해당되는 장면 그림을 찾은 후 그에 대한 질문에 대답을 하는 방법으로 듣기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조심해야하는 점

가정에서 진행되는 청각적 주의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듣기 연습이 진행이 될 때는 자녀가 처음부터 잘해야 한다는 것 보다 어머니 앞에 앉아 있었다에 우선적으로 칭찬을 해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앉아 있기에 거부하지 않고 참여를 한다면 아이가 맞출 수 있는 단어부터 진행을 하여 아이가 집중을 하여 수행을 할 수 있는 단서와 칭찬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시면서 어려운 것은 하나씩만 넣어서 해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쉬운 것 중 하나가 어려워졌을 때 아이들은 포기하지 않고 해보려는 시도를 하기 때문입니다. 맞추지 못하여도 해보려고한 시도에 칭찬을 해주시면서 진행을 하셨을 때 점차적으로 향상이 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