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 통합이란?
외부 환경에서 오는 다양한 감각을 아동이 받아드릴 때 이를 조직화 하는 신경학적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감각통합은 감각처리 과정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각 신체에서 받아들여진 감각 정보를 전체로 조직화하여 하나의 행동을 할 때에 협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자연스럽고 무의식 중에 일어나는 과정이며 이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특정 감각에 너무 예민하거나 또는 너무 둔하여 하나의 행동을 할 때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이 생겼을 때 진행하는 것이 감각통합치료 입니다.
고유수용성감각
감각 통합에서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 중 하나는 고유수용성감각 입니다. 이 감각은 신체의 위치와 자세, 균형잡기, 신체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하는 감각입니다. 외부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있어서 첫 시작이 되는 감각입니다. 또한 인체 내수용기에 의존하기 때문에 집중을 하는 과정이 없이 반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감각과는 또 다른 부분의 역할을 하며 내가 일상적으로 하는 행동의 대부분의 순간에 발생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대뇌에 전달합니다. 이 감각은 시각, 청각 등과는 다른 영역의 감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고유감각과 고유감각수용체
고유감각은 자신에 대한 감각이며 고유감각수용체는 근육과 관절에 있습니다.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피부의 말초신경, 척수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대뇌부로 전달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다른 신경들과 정보를 교환하여 움직임에 대한 균형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렇듯이 내가 눈을 감고 있어도 신체의 균형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고유수용체가 전달한 정보와 전정신경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가능한 것 입니다. 고유감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방법에는 두 발을 모은 상태에서 똑바로 서도록 하고 자세를 유지하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이를 롬버그 검사라고 하며 눈을 뜬 상태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정도, 눈을 감았을 때 유지하는 정도를 보는 것이며 눈을 감은 상태에서 넘어진다면 이는 고유감각에 이상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감각통합치료
감각통합치료는 걷기와 학습하기 등 큰 과제를 해나갈 때에 필요한 여러 감각들을 느끼도록 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치료역역입니다. 아동 대부분은 아동기의 활동 과정에서 발달을 하지만 간혹 발달이 느리거나 특이한 양상을 보이는 아이들에게 조절된 감각자극이 제시 될 수 있도록 환경을 준비하고 이에 따라 감각 자극을 받아들이고 처리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알려주는 치료입니다. 이를 통하여 중추신경계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일련의 과제를 적절하게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 과잉행동과 주의산만, 행동문제, 언어발달지연 등이 있는 경우 다른 치료영역과 병행하여 진행 할 수 있습니다.
누가 받아야 할까?
정해진 연령이나 대상은 없습니다. 다만, 여러 기관에서는 기본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영역 중 하나입니다. 또한 너무 과한 감각 정보가 제시 되는 경우 아동이 오히려 힘들어할 수 있고 혼란을 겪기도 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대부분 8세 이전가지 감각 통합 치료를 진행하고 이후에는 운동치료로 전환을 하고 있으며 오랜 기간 감통 수업을 하는 것을 권유하지는 않습니다. 청각에 예민한 경우, 소리에 예민한 것인지 신체 균형을 잡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지를 우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부분 평형에 둔감하거나 예민한 경우 이 영역을 선택하게 됩니다. 단순히 소리에 예민한 경우에는 특별히 권하지 않으며 걷기나 서 있기 시에 가만히 있지 못하거나 자주 넘어지는 경우에는 필요한 영역입니다. 소근육이 약한 경우, 연필을 잡기 이전에 블록을 꼽거나 빼는 과정에서 어디에 있는지 눈으로 보고도 정확히 위치를 찾지 못하는 경우 시각에 대한 검사에서도 이상이 없었을 때, 또는 안경을 끼는 등의 교정을 한 후에도 정확한 수행에 어려운 경우 해당 영역에 대한 치료를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나의 신체를 어떻게, 어떠한 방법으로 사용을 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영역입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님이 할 수 있는 구강 마사지 방법 (0) | 2024.08.14 |
---|---|
가정에서 하는 언어치료 : 무발화 자극 주기 (0) | 2024.08.13 |
유아 놀이 발달 : 상징 놀이 (0) | 2024.08.10 |
단어 목록 확장시키기 : 수용 언어 늘이기 (0) | 2024.08.09 |
조음장애 : ㅅ 정조음 하기 (0) | 2024.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