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부모님이 할 수 있는 구강 마사지 방법

heyini 2024. 8. 14. 22:59
반응형

구강 마사지

구강 내외의 근육 등을 자극하는 마사지 입니다. 이는 조음장애 또는 안면마비가 있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이 될 수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영역 중 하나입니다. 언어치료나 작업치료 등에서 활용을 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손을 사용하기도 하고 다른 기구도 등을 사용하여 안면 근육의 움직임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 방법을 통하여 조음기관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고 유연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저작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기능 향상을 유도 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가정에서는 위험성이 있는 것 보다는 좀 더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턱의 움직임 향상

발화 및 섭식에 있어서 아래턱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상악은 고정이 되어 있고 움직이는 하악의 움직임을 주로 향상 시키게 됩니다. 마사지를 할 때에는 아래턱을 잡고 움직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를 거부하고 두려워하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래턱을 바로 잡기 보다는 윗턱과 아래턱이 만나는 지점을 손바닥 또는 손가락을 활용하여 부드럽게 만져주면서 주변 근육에 대한 이완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아랫입술 아래를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이때는 턱을 잡는 것이 아니라 입술을 움직이도록 하여 아래턱이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는 방법이며 아래턱을 직접적으로 만지기 전에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해주는 예비 과정입니다. 

입둘레근 자극하기

입둘레근은 입술 주변에 있습니다. 입술 둘레에 있는 근육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않으면 입꼬리를 올리거나 입술을 양 끝으로 당겨서 발화하는 평순모음의 발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자극을 하는 것이 입술 둘레입니다. 양볼을 살짝 눌러서 뽀뽀하듯이 입술을 모았다가 놓는 방법과 입술 둘레를 손으로 톡톡 눌러주면서 긴장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풍선을 입술에 물고 바람을 유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렇게 입술에 대한 근력을 향상 시켜서 양순을 발화할 때에 보다 힘있게 조음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입술 도장 찍기 입니다. 입술에 아동용 립스틱을 바르고 종이에 도장 찍듯이 찍어내도록 하며 이때 입술의 모양을 여러가지로 바꾸러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구강 내 자극하기 : 혀 앞부분 /볼

구강 내 자극하는 방법에는 설압자를 사용하거나 티스푼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설압자의 경우 나무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거부감이 강한 경우 쨈이나 아동이 좋아하는 시럽 등을 사용하여 거부감 줄이기를 먼저 진행하고 혀끝부터 깊지 않은 혀 안쪽까지 톡톡 두드리면서 자극을 할 수 있습니다. 볼에 바람을 넣어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안쪽 양 볼을 자극 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티스푼의 둥근쪽을 차갑지 않게 하여 볼 부분에 닿일 수 있도록 하여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이때는 /아/하고 입을 벌린 상태에서 진행하며 오랜 시간 유지 하기 보다는 하나, 둘, 셋 하고 수를 센 후 바로 꺼내야합니다. 이유는 너무 오랜 시간 지속하게 되면 구토반사가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좋지 않은 경험을 하여 거부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구개 자극하기 : 혀 뒷부분 상승 시키기

연구개음을 내지 못하거나 연하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연구개부분을 자극하게 됩니다. 연구개는 목젖바로 앞의 입천장으로 말랑말랑한 부분입니다. 이 부위의 자극은 보다 어려움이 있습니다. 목젖이 건들리거나 그 주변이 건들렸을 때 구토반사가 일어나 구강마사지를 거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구강 내를 자극하지 않고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은 적은 양의 물을 머금는 연습을 먼저 하도록 합니다. 머금기가 가능하다면 머금은 후 고개를 살짝 뒤로 젖혀주도록 합니다. 그 상태에서 /아/ 발성을 합니다. 이 방법으로 연구개를 자극할 수 있으며 뒷부분의 혀가 상승되어 /가/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물을 삼키지 않기 위해 주변 다른 근육에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은 양의 물 보다는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였을 때 좀 더 아동이 쉽게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독증 : 읽기장애  (1) 2024.08.16
아이와 함께 책을 읽는 방법  (0) 2024.08.15
가정에서 하는 언어치료 : 무발화 자극 주기  (0) 2024.08.13
감각통합치료  (0) 2024.08.12
유아 놀이 발달 : 상징 놀이  (0) 202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