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놀이 할 때 엄마의 역할

heyini 2024. 10. 2. 15:15
반응형

놀이를 할 때 엄마의 역할

놀이를 할 때 엄마의 역할은 그저 옆에 있는 대상이나 아이가 지정한 역할을 그대로 해주는 것, 능동적으로 엄마의 역할에 따라 아이에게 맞춰서 이야기를 해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놀이를 하다가도 무언가 아이가 맞지 않는 방향으로 놀이를 하게 되면 엄마는 개입을 하게 됩니다. 아이들은 그러한 엄마의 개입을 원하지 않습니다. 지금은 엄마의 공부시간이 아닌 아이의 놀이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휴대폰을 보시면 안됩니다. 그러면 아이는 엄마가 자신을 보지 않기 때문에 이를 싫어하게 됩니다. 그러면 엄마는 무엇을 해야하는 걸까? 말 그대로 아이가 주인공인 놀이에서 아이가 원하는 말을 어머니들은 알고 있습니다. 이를 해주시면 됩니다.

놀이를 할 때 가르치면?

놀이를 할 때 아이에게 어머니의 방법을 알려주시면 놀이를 하게 되면 아이는 자신이 주인공이 아니게 되기 때문에 놀이를 중단하게 되거나 화를 내기도 합니다.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내면 부모님들은 이를 훈육하실 수 있고 같이 놀지 않거나 정리를 시키실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부모님과의 놀이를 통하여 가장 처음으로 사회성이라는 것을 알게되고 배우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가르치기 보다는 함께 놀아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놀이를 할 때 어떤 말을 해주면 좋을까?

놀이를 할 때 질문을 하시는 것 보다는 아이의 행동에 대해 "~하는 구나.","엄마가 ~해도 되?"와 같이 물어봐주시면 좋습니다. 그렇게 했을 때 아이는 엄마가 자신을 존중해주는 것을 알고 허락을 하거나 또다른 무언가를 새롭게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아이의 행동을 보고 계셨을 때 가능하기 때문에 아이와 함께 놀이를 하실 때에는 휴대폰을 잠시 내려두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호응보다는 아이가 만들어주는 것이 무엇인지, 엄마에게 무엇을 해주고 싶은지에 대해 물어봐주시고 아이에게 반응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무뚝뚝한 것 보다 웃으면서 반응을 해주시면 아이 또한 부모님과의 놀이를 즐거워할 수 있습니다.

놀이가 두서 없는 경우

아이의 놀이가 주제가 없다고 생각이 드실 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아이의 놀이 패턴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아이가 요리 놀이를 하고 싶어서 주방 교구를 가지고 왔지만 이를 놀지 않고 다른 교구를 또 가지고 오는 등의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아이에게는 무엇이 먼저 하고 싶은지 물어봐주시고 순서를 정해보시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놀이를 하지만 다른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여 교구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교구를 가져오기만 하고 놀지는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요리 놀이를 하고 싶은데 잘 하지 못한다면 어머니께서 접시 위에 과일을 올려 달라고 하고 맛있게 먹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아이는 놀이를 배워나갈 수 있습니다.

꼭 아이에게 맞춰서 놀아주어야 할까?

꼭 모든 것을 아이에게 맞추지 않으셔도 됩니다. 무조건 아이의 말에 반대로 하는 것도 좋지 않지만 가끔 놀이 중에 문제 상황을 발생시키는 것도 아이에게는 좋은 교육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준 우유를 마시는 척 하다가 쏟았다고 하시거나 아이가 주는 음식이 아닌 다른 음식을 요구하셔도 됩니다. 그럴 때 아이의 반응을 보시고 대처를 어떻게 하는지 보시고 적절하게 알려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 또한 예상하지 못한 반응에도 대처 할 수 있어야 함으로 무조건적으로 아이에게 맞추기 보다는 놀이 상황에 맞게 아이에게 요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