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집에서 하는 감각자극 : 촉감 놀이

heyini 2024. 8. 23. 18:23
반응형

감각이 예민한 아이

아이들마다 감각이 예민할수도 있고 감각이 둔할수도 있습니다. 청각이 예민한 경우 아주 작은 소리에도 반응을 하고 엘리베이터 버튼, 층 멈추는 소리 등을 힘들어 할 수도 있고 청소기 돌리는 소리, 드라이기 돌리는 소리 등을 견디지 못하기도 합니다. 또한 청감각이 예민한 경우 전정감각 또한 예민하여 한자리에서 도는 행동과 그네와 같은 놀이기구를 타는 것을 거부하고 좌우로 흔들리는 것에 두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후각이 예민한 경우 음식을 먹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아이가 좋아하는 것만 먹는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촉감각이 예민한 경우에도 음식을 가려서 먹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래놀이와 점토 놀이 등을 거부하고 손에 묻는 것을 극도로 싫어할 수 있습니다. 

감각이 둔한 아이

감각이 둔한 아이들은 통증에게 대해 늦게 느끼거나 느끼지 못하여 아파도 아픔을 덜 느끼고 울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맵거나 짠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 적고 특히나 신맛이 나는 음식에 대한 거부감이나 표현이 적을 수 있습니다. 청감각이 둔한 경우 소리에 대한 반응이 늦거나 전정감각이 둔하여 그네를 타거나 높은 곳에 올라가는 것에 두려움이 없고 지속적이고 반복된 행동을 보일 수 있으나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촉감각에 둔한 경우 자신의 손에 묻어 있는 것을 닦지 않을 수 있고 따갑거나 아플 수 있는 식물이나 동물에 대해서 거부감 없이 만져볼 수 있습니다. 다만, 감각이 둔한 아이들의 경우 조용하고 얌전히 놀기 때문에 감각이 둔하다는 것을 늦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민한 아이와 놀기

감각이 예민한 경우 가정에서는 아이가 싫어하기 때문에 자극을 최소화로 주거나 노출을 하지 않으려고 할 수 있습니다. 역으로 너무 과한 반응을 보이므로 지속적으로 같은 강도의 자극을 주어 아이가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소리에 대한 예민함이 있는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노출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악기의 경우에도 큰 소리가 나는 것 보다 북을 약하게 두드리면서 놀이를 하거나 사운드 패드를 활용하여 손으로 누르거나 발로 밟아보는 놀이, 패드병에 곡물을 넣어 흔들어보는 놀이 등으로 청각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전정감각이 예민하다면 베개 위에 올라가서 내려오기와 같이 계단이 아닌 다른 것을 밟고 올라갔다가 내려오도록 하는 놀이가 있습니다. 맛에 대한 거부감이 강한 아이들은 먹는 것을 억지로 시키기 보다는 단맛부터 짠맛, 신맛 순으로 약한 자극을 제시하면서 자극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부터 강한 자극을 활용한 놀이는 오히려 더 강한 거부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둔한 아이와 놀기

둔한 아이의 경우 손을 잡은 상태에서 점점 강도를 주고 아이가 이를 인지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촉감각에 대한 둔함을 향상 시킬 때에는 모래 밟기나 밀가루 반죽 밟기 등과 같이 아이가 자신의 힘을 발 쪽에 주고 꾹꾹 누룰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습니다. 청각에 대한 둔함은 아이가 좋아하는 노래나 악기 등을 활용하여 크게/작게 내기 등을 통하여 소리의 크기를 알려주는 놀이와 멀리서 이름부르기 가까이에서 이름 부르기 등을 통한 놀이도 할 수 있습니다. 둔한 아이들의 경우 반응이 적고 늦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모님의 인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반응이 늦더라도 지속적인 자극을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촉감 놀이가 필요한 이유

아이들은 촉감과 같은 감각을 통하여 사물의 정보를 얻고 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감각에 대한 과민한 반응과 둔감한 반응은 아이의 발달과정에서 결핍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적당한 감각정보는 아이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치료센터에서는 전문가가 도구를 활용한 감각 자극이 제시가 되지만 가정에서는 도구를 적절하게 사용을 하지 못할 수 있으며 가정에서는 밀가루, 모래, 베개 등을 활용하여 놀이의 형태로 감각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보다 확장된 모습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하실 점은 너무 강한 자극은 오히려 아이가 거부하여 스스로 방어를 하게 하기도 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 성향 유아 지도하기  (0) 2024.08.28
유아가 보이는 자폐 성향  (0) 2024.08.27
아빠 함께 하는 놀이 : 신체 놀이  (0) 2024.08.22
유아의 미디어 노출 : 미디어 증후군  (0) 2024.08.21
난독증 : 읽기장애  (1) 202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