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사회성은
또래와 한 공간에 있을 때 같이 놀이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연령은 2세에서 3세 초반의 연령입니다. 이때에는 자기 중심적으로 놀이를 하므로 상대방과 한 공간을 공유하는 것에서 같이 놀이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세 후반의 연령 부터는 교구를 공유하고 함께 주고 받는 놀이를 시작하였을 때 사회성 발달지연이나 사회성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4세 이후에는 아이들이 서로의 이름을 부르거나 손을 잡는 등의 행동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됩니다. 5세 이후에는 어떠한 아이들과 놀았는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무엇을 하였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기도 하고 놀이터 등에서도 부모님보다는 또래와 놀려고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6세 이후에는 선호나는 대상이 생기고 그 대상과 함께 놀고자 하는 욕구를 보이기도 하고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사회성이 느리다는 것은
사회성 발달이 느리다는 것은 3세 이후가 되었을 때 아동의 행동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한 공간에 있을 때 아동이 또래 아이와 함께 있는지, 따로 다른 공간으로 가는지, 혼자 있을 때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보고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아동이 혼자 있는 상황에서의 관찰을 통해 사회성 발달에 대해서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혼자서 놀고 있는지, 혼자서 놀면서 다른 아이들의 놀이에 관심을 보이는지와 같은 아동의 반응을 관찰하시면서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대해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혼자 놀면서 다른 환경에는 관심이 없다는 사회성 발달 지연이 심한 정도 또는 관심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형성해주어야 할 수 있습니다. 혼자 놀지만 다른 아이들의 놀이에 관심을 보인다면 그룹에 들어가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래와 같이 놀이를 시켜도 될까?
발달지연 아동이나 자폐스펙트럼 아동들 중에는 사회성이 점진적으로 향상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또래 보다는 느린 향상을 보이다 보니 어떠한 방법으로 사회성을 향상시켜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많을 수 있습니다. 또래에 들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동이 그룹에 들어가기에 부담을 느끼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동의 성향과 발달에 고려한 또래 놀이가 필요하며 소규모에서 대규모의 그룹으로 이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갑자기 4명 이상의 대그룹으로 먼저 시작을 하시기 보다는 3명 미만의 소그룹으로 시작을 하여 아동이 그룹에서 어떻게 활동을 해야 하는지 알아간 후에 대그룹으로 진행을 하여도 좋습니다. 또래와의 놀이에서는 부모님이 친한 관계 보다는 치료센터 등에서 진행되는 그룹 수업에서 먼저 진행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부모님이 친한 관계에서 진행되는 또래 놀이는 여러 이해관계로 인하여 아동의 사회성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주 만나지 않고 가끔 만나는 것은 아동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지만 너무 잦은 만남은 아동이에게 오히려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는 고려해봐야하는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그룹 수업이란?
사회성 그룹 수업은 치료센터에서 진행을 하고 있는 일종으로 프로그램입니다. 대부분은 주 1회, 월 4회로 진행이 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 입니다. 또한 치료센터의 방향에 따라 오전 시간을 4교시로 하여 1교시, 2교시, 3교시, 4교시 와 같이 진행이 되기도 합니다. 4인 이상의 아동으로 구성이 되어 진행이 됩니다. 사회성 그룹 수업의 경우 효과에 대해서는 아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회성 그룹의 경우 정확한 주제와 방식을 가지고 진행이 되어야 하며 아동 또한 그 그룹 안에서의 정해진 규칙에 맞춰서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룹 수업의 경우 인원이 많은 구성원 안에서 함께 활동을 하는 방법을 배우고 실행하는 과정 입니다.
그룹 수업의 단점
그룹 수업에서는 섬세한 감정 교류와 또래 관계를 형성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러 인원이 있기 때문에 그룹 수업을 담당하는 선생님이 아동을 모두 세밀하게 관찰하고 행동 수정 등에 대해 접근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만약 아동이 규칙에 대한 이해가 낮고 지키기 어렵거나 과격한 행동이 있고 이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다면 그룹 수업에 들어갔을 때에 적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동이 행동 문제가 있지만, 그래도 그룹에 들어가서 적응을 하고 다른 아동을 보고 배울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오히려 다른 아동들의 시선으로 인해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행동 문제가 있다고 한다면 사회성 그룹 보다는 짝수업과 같이 치료사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고 보다 세밀하게 관찰하고 개입을 할 수 있는 소규모로 진행되는 사회성 수업이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이치료를 통한 언어향상 (0) | 2024.11.20 |
---|---|
짝수업을 대하는 자세 : 짝수업 효과 (0) | 2024.11.16 |
훈육을 하는 방법과 정도 (0) | 2024.11.13 |
장애아동 판정기준 (0) | 2024.10.24 |
자폐아이와 같이 놀기 (0)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