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영유아의 시기별 언어발달 및 언어발달 지연

heyini 2024. 7. 9. 14:48
반응형

1. 영유아의 시기별 언어발달(생후 2~13개월)

 생후 2~3개월의 언어발달은 사람을 보고 미소를 짓거나 가끔 소리나게 웃어보이는 모습을 보입니다. 또한 입안 뒤쪽(목젖 부근)에서 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생후 4~7개월의 언어발달은 소리내기를 좋아하며 즐겨합니다. 여러 모음 비슷한 소리를 내기도 하고 입술에서 나는 소리('ㅂ,ㅃ'와 비슷합니다.)를 여러 모음과 함께 결합하여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바바바'나 '빠빠'와 같은 소리) 또한 음절 구분이 있는 소리를 내며 부모 또는 가까운 성이 말하는 특정한 말에 반응하고 좋아합니다.(엄마가 '펑' 하는 말을 듣고 웃는 등의 반응을 보입니다. 8~11개월의 언어발달은 운율변화가 있는 소리를 낼 수 있으며 '바바바' ,'맘마','어마','아바'와 같이 음절성의 발음이 많아집니다.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어어'를 함께 말할 수 있으며 '빠이빠이'.'엄마','할머니'와 같이 특정 낱말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집니다. 12~13개월의 언어발달은 이해하는 낱말이 많아지고 상황과 연결해서 일관되게 표현하는 낱말이 생겨납니다. 요구를 하면서 '어마,엄마'라고 하거나 싫다고 고개를 흔들면서 '아아아'와 같이 표현을 하기도 합니다.

2. 영유아의 시기별 언어발달 지연(생후 2~13개월)

 생후 2~3개월에는 뚜렷하게 아이의 발달지연을 알아차리기에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만, 수유 중의 눈맞춤 빈도가 낮거나 미소 짓기등의 표정변화가 없는 경우, 입안 뒤쪽에서 내는 소리가 들리지 않거나 빈도가 낮을 경우 지연의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생후 4~7개월에는 옹알이 수준의 발성들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때 말소리가 들리지 않거나 빈도가 낮다면 언어발달 지연의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8~11개월에는 옹알이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6개월의 옹알이와 다르지 않다면 언어발달 지연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성인의 말을 듣고 웃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거나 눈맞춤이 없다면 사회성발달지연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12~13개월에는 눈에 보이는 물건을 건내주거나 부름에 돌아보기 등의 반응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언어 발달 및 사회성 발달이 지연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3. 유아의 시기별 언어발달(생후 14~24개월)

 생후 14~16개월의 언어발달은 반향어(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따라 말하는 것)와 자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말을 따라 하다가 불분명한 경우 자곤으로 채워넣어 문장처럼 말을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불명료한 구어를 산출하며 13개월에 비해 지시 수행이 좀 더 정확하게 수행을 하게 됩니다. 3~10개의 표현어휘를 습득하게 됩니다. 16~18개월의 언어발달은 "엄마 가","아가 꺼"와 같이 2낱말을 붙여 구를 사용하게 됩니다. 몸짓과 소리내기를 동시 또는 병행하여 사용하며 스스로 원하는 물건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19~24개월의 언어발달은 낱말을 더 자주 말하게 됩니다.

4. 유아의 시기별 언어발달 지연(생후 14~24개월)

 생후 14~16개월에는 성인의 말을 따라 하거나 요구하는 말이 좀 더 명확해지는데 이때 성인의 말을 따라하는 반응이 10회 중 5회 미만인 경우 언어발달 지연의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지시에 따라 수행하는 빈도가  향상 또는 정확해야 하나 성인의 부름이나 지시에 따라 수행을 하지 않는 경우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16~18개월에는 두단어 연결로 문장 형태의 발호가 나타나야 하나 이때 명확하지 않은 "엄마", "마마"라고 말을 하는 경우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19~24개월에는 말로써 사물을 요구하지 않고 조용히 혼자서 노는 경우, 눈맞춤 빈도가 낮고 이름을 불렀을 때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5. 시기별 언어발달 지연을 가정에서 알아차리기

가정에서 아이가 늦다는 것을 알아차리기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영유아발달시기에 하는 영유아 발달검사에서 자녀의 언어발달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이때, 보호자께서 체크를 하실 때에 어머니의 느낌이 아닌 직접저으로 항목을 하나씩 보고 자녀에게 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하여 아동의 언어발달 지연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체크리스트를 작성 하실 때에는 같은 항목을 아이에게 반복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3회 정도 시도를 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이는 전문가는 아니더라도 자녀가 정상발달인지, 언어발달 지연인지를 알아차릴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 주변 사람들이 아이의 늦음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이때 확인하실 수 있는 방법으로는 아동 발다체크리스트에 있는 항목 중 아동의 개월 수 보다 3개월 앞(24개월 이라면 21개월) 단계에서 부터 확인을 하도록 하여 아동이 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좀 더 어린 개월 수로 확인을 하여 아이가 어느 정도의 발달 수준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자녀의 현재의 언어발달과 발달지연을 확인하여 보다 빠른 개입이 가능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