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아동의 언어발달 및 언어발달지연

heyini 2024. 7. 11. 10:14
반응형

2~3세 언어발달

 아동기에는 개월 수 발달 측면을 보기 보다는 연령으로 아동의 언어발달을 관찰하게 됩니다. 그 만큼 다양해지고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2세 아동은 50%이상의 구어 명료도를 보이며 가까운 가족의 경우 아동이 하는 대부분의 말을 이해할 수 있게 되비다. '하나'와 '전부'의 의미를 알아갈 수 있는 단계를 보입니다. 또한 이름을 명명하며 물건을 요구할 수 있게 되나 정확한 명칭 구사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낱말을 듣고 그에 해당하는 그림을 찾을 수 있습니다.3세 아동은 70%이상의 구어 명료도를 보이며 가족 외에도 어린이집 선생님도 아동의 말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3~4낱말 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엄마 아빠 가, 엄마 까까 줘) 몇 가지의 질문을 할 수 있게 되며 의문사를 이해하게 됩니다.(누구, 무엇) 짧은 노래를 흥얼거릴 수 있습니다.

2~3세 언어발달 지연

2세(24개월 이후)가 되면 아동의 언어발달 지연은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세의 경우 간단한 구어 표현으로 사물을 요구하지 않고 손을 끌고 가거나 '엄마','아빠'와 같이 가까운 가족을 부를 때 말을 하지 않을 경우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3세 전반 아동(30~35개월)의 경우 낱말을 듣고 그에 해당하는 그림이나 사물을 찾지 못하거나 3~4낱말의 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어 수준의 발화를 유지하는 경우, 가까운 가족 외에 다른 성인이 아동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3~4세 언어발달

 3세의 경우 과도기에 위치하고 있을 만큼 발달지연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연령입니다. 3세 후반(39~ 42개월) 언어발달과 4세 초기(43~48개월) 언어발달은 물건의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성인이 보여주었을 때 모방을 하기도 합니다. 또한 '선다-간다,크다-작다,안에-밖에'와 같이 상대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 언어로 감정을 표현 할 수 있으며 4~5단어로 문장을 만들어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동의 언어발달 단계에서 긴 문장도 명료하게 말을 할 수 있어 대부분의 성인이 아동의 말을 60%이상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말을 하는 동안에 첫 음절을 반복하거나 말이 막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속삭이며 말하기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거와 미래를 인식하고 어제, 내일 또는 옛날이라는 표현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3~4세  언어발달지연

 3세 후반(39~42개월)과 4세 초기(43~48개월) 경우 물건의 기능을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고 성인이 알려주어도 조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 감정 표현을 구어로 하지 않고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는 등의 행동을 보일 경우 아동의 언어발달 지연의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긴 문장으로 말할 수록 가까운 가족이 아동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시기 단어 수준의 발화에서도 아동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물을 명명할 때 정확한 명칭이 아닌 아동과 부모님만 아는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언어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동의 언어발달 지연 가정에서 알아차리기

 2세에서 4세 사이의 경우 주변에서 아동에 대한 언어발달 또는 행동발달 등에 대해 늦은 경우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때 유전력을 가정하여 늦을 수 있지 라고 생각하실 수 있고 성별에 따라 조금 늦을 수 있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좀 더 명확히 아동이 늦음을 알아차리는 방법은 아동의 언어영역에서 표현언어가 늦은 것인지, 수용언어가 늦은 것인지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표현언어가 늦은 경우 어머니 또는 아버지 외에 다른 성인이 아동에게 심부름이나 질문을 했을 때 사물을 찾아오거나 지시에 따라 행동을 모두 할 수 있으나 질문에 대해 대답을 "응","아니" 또는 단어수준으로만 대답을 하는 경우 표현언어 발달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수용언어가 늦은 경우 아동이 혼자서 하는 말을 단어 외 문장도 잘하지만 "누구야??, 누가 줬어요?, 이거 뭐야?"와 같이 쉬운 질문에도 대답을 바로 하지 못하고 고민을 하거나 아무거나 대답을 하는 경우, 지시에 따라 수행을 하지 못하는 경우, 수용언어 발달 지연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녀의 언어발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가 될 수 있으니 지연이 보인다면 빠르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