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가정에서 영유아 언어 향상 시키기

heyini 2024. 7. 10. 20:27
반응형

2~6개월  애착 형성과 반응 보여주기

 영유아의 발달이 늦은 경우 가정에서도 언어 향상을 위해서 자녀에게 교육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에게 해줄 수 있는 언어 자극에는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2~3개월에는 아동과 눈맞춤을 할 수 있도록 수유 중 자녀의 이름을 불러주시고 자주 웃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는 눈맞춤과 부모님과의 애착형성이 시작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4~5개월 정도 되면 뒤집기를 시작합니다. 다양한 색이 아닌 단색으로 된 그림을 자녀가 보고 인지 할 수 있도록 해주시며 좋습니다. 자녀가 혼자서 잘 놀더라도 이름을 한번씩 불러주시고 눈을 맞추며 웃어주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개월이 되면 옹알이를 시작하여 유아가 많은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자녀의 소리에 반응을 햊시고 비슷한 소리를 따라 해주시면서 자녀가 부모님의 반응을 보고 즐겁게 소리로 반응을 해줄 수 있습니다.

7~13개월 언어 상호작용 놀이 알려주기

 7~8개월에는 좀 더 다양한 말소리를 자녀가 낼 수 있습니다. 이때 자녀가 조용히 잘 논다고 해서 두는 것이 아니라 하루 5~10분 정도 자녀의 눈눞이에 맞춰서 공을 굴려주거나 인형을 건내는 등의 단순한 놀이와 함께 의성어나 의태어, 단순한 "쿵","콩콩콩"과 같이 자녀가 관심을 보일 수 있는 말소리를 함께 들려주도록 합니다. 이때 주의하셔야하는 부분은 너무 빠르고, 큰 목소리는 자녀에게 좋지 않을 수 있으니 차분하고 너무 크지 않은 말소리를 자녀에게 들려주시면 좋습니다. 9~11개월에는 비슷한 말소리를 따라 내기도 하고 입모양을 유심히 볼 수 있습니다. 이 시ㅣ에 언어 향상을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자녀에게 단순하지만 주고 받기를 해보시는 겁니다. 어머니께서 인형을 자녀에게 주신 후 손을 내밀어 어머니의 손 위에 인형을 놓을 수 있도록 알려주시면서 주고 받기를 해보시는 겁니다. 12~13개월에는 성인이 알아들을 수 있는 "엄마","아빠"와 같이 말소리를 내게 됩니다. 이때는 자녀가 비슷하게 말을 했을 때 대답을 해주시면 자녀가 좀 더 자주 부르게 되고 "엄마, 아빠"라는 말을 하면서 부모님을 이전보다 더 인지하게 됩니다.

14~17개월 말놀이 해보기

 이 시기에는 좀 더 다양한 말소리를 내기도 하고 단어를 따라 말해보는 시도를 하는 시기입니다. 14~15개월이 되면 자녀는 성인의 반응에 따라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하게 됩니다. 부모님의 반응이 긍정적인 경우 행동이 늘어나고 부정적인 경우 해동이 줄어들지만 명확하지 않은 경우 반복해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알고 하는 행동이 아니기 때문에 이때는 훈육을 먼저 하시기 보다는 해도 되는 것과 안되는 것을 알려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긍정과 부정을 말로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응","으응"과 같이 긍정 부정을 고개 끄덕임, 고개 저음과 같이 행동과 함께 말소리로 알려주시면 자녀가 따라 할 수 있습니다. 16~17개월에는 모방이 좀 더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차 그림을 보며 "빵빵"과 같이 말을 따라 할 수 있도록 자극을 주시면 됩니다.

18~20개월 쉬운 말 사용하기

 18~20개월은 언어 사용이 좀더 정확해지는 시기가 됩니다. 또한 부모님의 부정적인 반응으로 인하여 언어 사용이 줄어들 수 있는 시기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훈육을 함에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며 안되는 행동에 대해서는 단호하고 간결한 언어로 훈육을 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녀에게 말을 하실 때에는 "엄마 꺼","아가 꺼"와 같이 자녀가 이해하기 쉽게 짧고 쉬운 언어를 사용해주시면 좋습니다. 이때 부모님의 말이나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려고 하기도 하는 행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도 "안돼" 보다는 아동이 따라하기 쉽게 바꾸어 알려주시면서 언어 표현과 언어이해를 모두 자극 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 좋습니다.

언어 향상 시키기 중 주의 사항

 모유 및 분유수유를 하시는 시기에는 자녀를 안고 계실수도 있고 눕혀놓은 상태 일 수도 있습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님께서 자녀를 보고 계셔야한다는 겁니다. 자녀를 보고 눈을 맞추고 웃어주시면서 가장 중요한 애착을 형성하셔야 하고 이는 자녀가 자라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됩니다. 6개월 이후 부터 이유식을 시작하실 때 먹지 않는다고 하여 매체(동영상)을 보여주시면 안된다는 점입니다. 부모님과의 관계형성과 그 안에서 언어를 배울 수 있으므로 이 시기에는 동영상을 보여주시기 보다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