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66

4세 이후 아이들의 언어특성

4세 아이의 언어특성은?4세 아이들의 경우 본격적으로 말을 사용하여 다양한 놀이와 의사소통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때 부터는 모방을 통해 5까지의 숫자를 셀 수 있고 셋까지의 개념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손가락으로 하나, 둘, 셋을 말하며 펴거나 접기를 하기도 합니다. 1~3가지의 색깔을 인식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이때부터는 대부분의 간단한 지시 수행을 모두 이해하고 수행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이집 등에서 선긋기, 모양찾기와 같은 인지학습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짧은 이야기를 집중하여 듣기가 가능하며 사물의 기능에 대한 질문에 대답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언어특성을 보이기 시작하며 아동이 하는 대부분의 말을 성인이 이해할 수 있게 되는 연령입니..

교육 2024.07.14

유아 행동에 따른 언어 놀이

3세 전반기 언어 이해 향상 시키기 36~41개월의 3세 전반기 유아의 경우 사물 찾기 등을 통하여 언어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표현언어도 중요하지만 수용언어 및 언어 이해 정도, 인지 정도도 중요합니다. 모든 시기에 중요한 부분이나 이때 부터는 부모님의 말을 아동이 듣고 반응을 하는 것을 살펴 보며 발달 정도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는 사물 카드를 보며 찾기를 할 수도 있지만 동물 책, 자동차 책 등을 보면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장난감 놀이를 하면서 명칭을 알려주고 찾기를 해볼 수 있습니다. 이때 아동의 반응이 없다면 풍선을 아동에게 날려주면서 관심을 끌 수 있고 자동차를 아동에게 밀면서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관심 끌기를 우선 진행하고 이후 사물을 손에 올려놓고 보여주고 숨..

교육 2024.07.13

아동기 언어 자극 주기

말을 하지 않는 아이 말 시켜 보기-2세 가정에서 언어 향상을 위한 교육에는 아동의 연령 보다는 현재의 아동의 수준에 따라 해당하는 연령에 할 수 있는 언어 놀이를 해주시면서 언어 자극을 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식 등을 먹을 대에 간단한 요구하기 등을 알려주시거나 그림책을 함께 보며 단어 수준 또는 2단어 연결 수준으로 말을 해주실 수 있습니다. 아동이 말을 하지 않고 있고 따라 하지 않을 경우 단순한 "빵빵"이나 "빠빠"와 같이 쉽게 낼 수 있는 소리를 유도해주시면 좋습니다. 또한 전혀 하지 않을 경우 밥을 먹여 주시면서 "아"와 같이 소리를 내어 아동이 보고 따라 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서 말소리를 내는 것을 우선 유도해주시면 좋습니다.단어로만 말하는 아이 -3세(30-35개월)문장 수준으로 말을..

교육 2024.07.12

아동의 언어발달 및 언어발달지연

2~3세 언어발달 아동기에는 개월 수 발달 측면을 보기 보다는 연령으로 아동의 언어발달을 관찰하게 됩니다. 그 만큼 다양해지고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2세 아동은 50%이상의 구어 명료도를 보이며 가까운 가족의 경우 아동이 하는 대부분의 말을 이해할 수 있게 되비다. '하나'와 '전부'의 의미를 알아갈 수 있는 단계를 보입니다. 또한 이름을 명명하며 물건을 요구할 수 있게 되나 정확한 명칭 구사에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낱말을 듣고 그에 해당하는 그림을 찾을 수 있습니다.3세 아동은 70%이상의 구어 명료도를 보이며 가족 외에도 어린이집 선생님도 아동의 말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3~4낱말 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엄마 아빠 가, 엄마 까까 줘) 몇 가지의 질문을 할 수 있게 되며 의문사를 ..

교육 2024.07.11

가정에서 영유아 언어 향상 시키기

2~6개월  애착 형성과 반응 보여주기 영유아의 발달이 늦은 경우 가정에서도 언어 향상을 위해서 자녀에게 교육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영유아에게 해줄 수 있는 언어 자극에는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2~3개월에는 아동과 눈맞춤을 할 수 있도록 수유 중 자녀의 이름을 불러주시고 자주 웃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에는 눈맞춤과 부모님과의 애착형성이 시작되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4~5개월 정도 되면 뒤집기를 시작합니다. 다양한 색이 아닌 단색으로 된 그림을 자녀가 보고 인지 할 수 있도록 해주시며 좋습니다. 자녀가 혼자서 잘 놀더라도 이름을 한번씩 불러주시고 눈을 맞추며 웃어주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개월이 되면 옹알이를 시작하여 유아가 많은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자녀의 소리에..

교육 2024.07.10

영유아의 시기별 언어발달 및 언어발달 지연

1. 영유아의 시기별 언어발달(생후 2~13개월) 생후 2~3개월의 언어발달은 사람을 보고 미소를 짓거나 가끔 소리나게 웃어보이는 모습을 보입니다. 또한 입안 뒤쪽(목젖 부근)에서 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생후 4~7개월의 언어발달은 소리내기를 좋아하며 즐겨합니다. 여러 모음 비슷한 소리를 내기도 하고 입술에서 나는 소리('ㅂ,ㅃ'와 비슷합니다.)를 여러 모음과 함께 결합하여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바바바'나 '빠빠'와 같은 소리) 또한 음절 구분이 있는 소리를 내며 부모 또는 가까운 성이 말하는 특정한 말에 반응하고 좋아합니다.(엄마가 '펑' 하는 말을 듣고 웃는 등의 반응을 보입니다. 8~11개월의 언어발달은 운율변화가 있는 소리를 낼 수 있으며 '바바바' ,'맘마','어마','아바'와 같이 음절성..

교육 2024.07.09